본문 바로가기

주절주절

(5)
역사공부하려면 한국사 자격증을 따야할까? 안녕하세요 외양간 블로그의 외양간 지기입니다. 오늘은 역사 공부하려면 한국사 자격증을 꼭 따야할까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왜 역사 공부를 하려고 하시나요? 혹시 여러분이 공기업 취준생이나 임용고시 준비자라면 한국사 시험은 꼭 따셔야 합니다. 하지만 위와같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자격증을 취득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있었던 사실들을 정확하게 암기하려고 할 필요도 없습니다. 대략적인 시대상황과 인과관계 파악에 집중하세요. 사실 역사는 한 국가내에 사건들뿐만 아니라 국제정세와도 관련있기 때문에, 한국사만 공부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한국사는 한국의 입장에서 쓰여져있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사안을 보는 눈을 키우고 싶으시다면 세계사를 공부하셔야 합니다. 교양서적부터 시작하는 것도 아주 ..
주식 공부 시작할때 꼭 알아둬야 할것, 이거 모르면 큰돈을 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외양간 블로그의 외양간지기입니다. 요즘 주식으로 난리죠. 여러분 주변에서도 주식으로 돈을 번 분들이 심심찮게 계신겁니다. 주식은 도박같기도 하지만 동시에 아니기도 하죠. 별다른 판단없이 그냥 매수하면 그 주식은 도박입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고 본인이 판단하여 매수한 주식은 투자입니다. 그렇다면 주식 투자를 위해 공부를 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경제, 정치, 회계 등도 물론 아주 중요합니다. 저는 경제, 정치, 회계 외에 사람에 대한 통찰을 키워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특정 회사의 주가가 상승할것이라고 예측하기 위해서 기반이 될 수 있는 정보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기업을 이끌어가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사람입니다. 따라서 인간심리에 대한 이해없이 주식에서 큰..
바다건너 날아온 의문의 우편물 안녕하세요 외양간 블로그의 외양간 지기입니다. 우편함을 보니, 해외에서 뭔가가 와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일본에서 보낸것이네요. 까맣게 잊고있었는데, 그러고보니 기억이 납니다. 한달전쯤에, 크리스마스 카드를 보낼테니, 주소를 알려달라는 연락을 받았었습니다. 오래걸릴것같다고 해서 3개월정도 걸릴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코로나 시국인데도 예상보다 훨씬 빨리 왔네요 ㅎㅎ 어라? 그런데 카드치고는 뭔가 도톰한 무언가가 만져집니다... 뭐지? 아이쿠.... 카드는 카드인데, 그냥 카드가 아니네요 카드의 탈을 쓴 음악 재생 기능이 있는 크리스마스 전등입니다. 곡도 한두곡이 아니라, 무려 20곡이 나옵니다.... 재생 곡목 리스트 재생되는 크리스마스 캐롤송들 제목이 자그마치 20곡이나 됩니다.. 그냥 크리스마스 카드가 ..
외양간 블로그 이름의 뜻 안녕하세요 외양간 블로그의 외양간지기입니다. 블로그 시작한지도 한달정도 되었네요. 오늘은 왜 제가 블로그 이름을 외양간이라고 지었는지에 대해 포스팅 해볼까합니다.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외양간'은 소, 말을 기르는 곳이라고 나와있네요. 하지만 이 외양간은 제 블로그 외양간과는 조금 다릅니다~ 제 블로그의 외양간은 유명한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에서 따왔습니다. 일이 잘못되기 전에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일이 잘못된 후에야 사태를 수습하고자 할때 주로 사용되는 말이지요. 좋은 뜻으로 사용되는 말은 아닙니다.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했습니다. 살면서 소를 잃고 나서도 외양간을 정비하지 않는 경우를 숱하게 봐왔습니다. 외양간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심한 경우, 소..
번역 일을 하게되었습니다. 지인을 통해서 번역 일을 하게되었습니다. 이런 일이 있을거라고는 전혀 생각도 못했었는데, 역시 기회는 갑자기 찾아오는것인가 봅니다. 번역에 대해서는 평소 약간의 관심정도만 있었던 지라 실전에서는 저 스스로의 부족한 실력을 뼈저리게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외국어를 1:1로 대응시켜서 직역하면 한국인에게는 부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실력있는 번역가는 외국어 문장을 번역했더라도 번역했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번역해내겠죠. 단순히 단어 각각을 직역하는것이 아니라, 해당 표현을 한국에서 나고자란 네이티브 한국어 화자들이 어떻게 말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대한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바꿔야했습니다. 이전까지는 관심이 없었다가, 이번에 번역을 하게 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